【후생신보】 정부와 의사단체의 '의과대학 정원 확대' 논의가 본격화된 가운데 양측은 오는 27일 미래 의사인력 수급규모를 추계할 전문가 포럼을 열기로 했다.
![]() |
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6일 오전 YTN 라디오 '뉴스킹 박지훈입니다'에 출현 "의료현안협의체를 통해 의협과 앞으로 이 부분(의대 정원 증원)을 논의해 나가기로 합의했다"며 "오는 27일 의사인력 수급추계 전문가 포럼을 열 예정"이라고 밝혔다.
박 차관은 "의사인력 확충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" 라며 "다만 의사인력 확충이 없으면 절대로 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.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응급실 문제, '소아과 오픈런', 지방의료원의 구인난 등은 근본적으로 의사 부족에 기인하는 것"이라고 말했다.
이와 함께 의대 정원 증원이 충분히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'필수의료 정책 패키지'를 함께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.
박 차관은 구체적으로 △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병원 인력구조를 전문의 중심으로 바꾸기 △의대생·전공의 시절부터 지역·필수의료 관련 경험을 쌓도록 교육·수련체계 개선 △근로 여건(업무량·경제적 보상) 개선 및 의료사고 '사법 리스크' 완화 등을 언급했다.
의료계는 필수의료 분야에서 의료사고가 발생했을 때 의료진이 지게 되는 법적 부담이 '필수의료 기피' 현상을 더 심화시켰다고 본다. 전날 의정 협의체 회의에서도 이 부분이 안건으로 논의된 것으로 파악됐다.
박 차관은 "의료사고 발생 시 형사절차에 들어가는 것들을 굉장히 괴로워하시는데,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하고 예의를 갖춘 보상이 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주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"고 부연했다.
또 "이같은 정책 패키지가 같이 가야 필수의료 분야 인력들이 (제대로) 일을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"이라고 언급했다.
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사회적 파급력이 큰 의대 정원 관련 논의를 이해당사자인 직능단체(의협)와만 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있다는 질의와 관련해서는 "그 주장에 공감한다"고 말했다.
박 차관은 "다만, 당사자가 의료계기 때문에 우선 의료계랑 협의해서 의견을 충분히 듣는 과정이 필요하다"고 전제하며 "그런 과정이 지나면 적절한 시기에 소비자나 환자 단체가 참여하는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이 아마 필요하다고 본다"고 설명했다.